728x90
반응형
SMALL
고주파온열치료기 종류별 종합 정리
고주파온열치료는 에너지 전달 방식에 따라 Resistive, Radiative, Capacitive, Microwave로 구분되며, 각각 다른 장비와 적용 방식이 존재합니다. 환자 상태, 종양 위치, 깊이에 따라 선택되는 장치가 달라지므로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Resistive 방식
- 원리: 전극을 통해 전류를 직접 조직에 흘려,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킵니다.
- 대표 장비: INDIBA CT 시리즈(주로 재활·물리치료용), 연구용 CWD 장치.
- 장점: 장비 구조 단순, 특정 국소 부위 자극에 용이.
- 한계: 종양 온열치료용으로는 제한적, 침투 깊이가 얕고 암 적응증이 공식적이지 않음.
- 치료 세션: 물리치료에서는 20~40분 사용, 암 분야에서는 임상 근거 부족.
2. Radiative 방식
- 원리: 고주파 전자기파를 방사해 종양 부위까지 침투, 페이즈드 어레이 기술로 열 집중 가능.
- 대표 장비: Pyrexar BSD-2000 계열 (BSD-2000, BSD-2000 3D, BSD-2000 3D/MR).
- 장점: 심부 장기(간, 췌장, 골반 등)까지 깊게 도달, MRI 융합으로 정밀 치료 가능.
- 한계: 장비 규모가 크고 고가, 시술 세팅 복잡, 전문 인프라 필요.
- 치료 세션: 보통 60분 내외, 주 2~3회, 방사선·항암 병행 임상 근거 풍부.
3. Capacitive 방식
- 원리: 두 전극 사이에 인체를 두어 전기장을 형성, 이온·수분이 많은 종양 조직에서 열 발생.
- 대표 장비: Thermotron RF-8 (8 MHz), Oncotherm EHY-2000/2030 (13.56 MHz), Celsius42 TCS.
- 장점: 다양한 깊이 종양에 적용 가능, 전극 크기 조절로 범위 유연.
- 한계: 지방층 많은 부위에서는 열 집중이 약할 수 있음, 전극 피부 접촉 관리 필요.
- 치료 세션: 보통 40~60분, 주 2~3회, 항암·방사선과 병행 시 생존율 개선 근거 다수.
4. Microwave 방식
- 원리: 마이크로파(915 MHz, 2.45 GHz)를 조사하여 수분 분자 진동으로 열 발생.
- 대표 장비: Pyrexar BSD-500.
- 장점: 표재성 종양 치료에 강점, 균일한 가열 가능.
- 한계: 침투 깊이가 제한적, 주로 피부·표재성 종양이나 삽입형(Interstitial) 치료에 적합.
- 치료 세션: 30~60분, 주 2~3회, 간·유방·피부 종양 임상 근거 있음.
종합 비교 요약
- Capacitive & Radiative → 현재 임상 종양치료의 주력 장비.
- Microwave → 표재성 종양·간질 삽입 치료에서 사용.
- Resistive → 주로 재활·물리치료용, 암 치료 적응증은 제한적.
참고·출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728x90
반응형
LIST
'암 종류에 따른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주파온열치료기 종류별 비교표(Resistive / Radiative / Capacitive / Microwave) (0) | 2025.10.06 |
---|---|
고주파온열치료기 종류별 대표 기계명 정리 (1) | 2025.10.04 |
고주파온열치료기 종류별 정리 및 효과와 한계 (0) | 2025.10.03 |
고주파 온열치료의 효과와 부작용 분석 (0) | 2025.10.02 |
T세포와 NK세포, 면역치료의 핵심 (0) | 202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