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 종류에 따른 치료

암 치료 중, 나는 왜 다시 병원을 찾았을까?

by 갈지로 2025. 9. 18.
728x90
반응형
SMALL

왜 나는 다시 병원을 찾아야 했을까? 암과의 여정 속에서

방사선 치료가 끝나고, 항암제 마지막 스케줄도 마무리되었다. 사람들은 이제 “다 나은 거냐”고 묻지만, 나는 속으로 자꾸 되물었다. “이게 끝일까?”, “내 몸은 정말 괜찮은 걸까?”

치료가 끝난 자리엔 회복이 올 줄 알았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피로는 늘어났고, 체온은 자주 요동쳤으며, 작은 감기에도 몸이 휘청거렸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완전관해’라는 단어가 간절해졌다. 단순히 증상이 없다는 게 아니라, 내 몸속 깊이 숨어 있는 불씨까지 꺼버리고 싶었다.

알파리포익산면역치료싸이모신알파원
알파리포익산

몸이 먼저 반응했다

병이 사라졌다는 말은 들었지만, 내 몸은 여전히 경계 상태에 있었다. 하루를 버티는 것도 벅찼다. 체력은 바닥이었고, 감정도 자주 가라앉았다.

그때부터 ‘면역력’이라는 단어가 점점 더 크게 다가왔다. 나는 깨달았다. 이제 싸움의 방식이 바뀌었음을.

칼을 드는 싸움에서, 내 몸을 다시 ‘만들어 가는’ 싸움으로. 내 생명을 지키는 근본은 결국 면역이라는 걸 실감했다.

다시 병원 문을 두드린 이유

나는 인터넷을 뒤졌다. 무작정 약을 더 먹는 방식이 아니라, 몸을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었다.

그러다 눈에 들어온 병원이 집 근처의 ‘암요양병원’이었다.

광고도 요란하지 않았고, 치유보다는 ‘면역 회복’이라는 단어에 집중된 소개가 마음에 들었다.

치료 이후의 병원, 그 의미는 달라야 한다

사실 병원이라는 공간 자체가 피로하고 숨막히게 느껴지는 사람도 많다. 

도심 한가운데, 지하철로도 쉽게 갈 수 있는 위치. 그건 단순히 교통의 편리함을 넘어 ‘회복이 삶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다가왔다.

나는 환자가 아니라, 다시 살아가려는 ‘사람’으로 이 병원에 들어섰다.

내 몸에 필요한 것들을 찾아서

이 병원에서는 면역보조제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었다. 싸이모신알파원, 미슬토(압노바비스쿰에프) 주사, 비타민C, 글루타치온, 알파리포익산.

낯설지만 흥미로웠다. 이들이 하는 역할, 내 몸의 세포 수준에서 무엇이 어떻게 재건되는지를 설명해주는 의료진의 태도는 무언가 ‘믿어도 좋다’는 신호처럼 느껴졌다.

그게 내가 다시 병원을 찾게 된 이유다. 이제는 수동적인 치료가 아니라, 내가 선택하고, 내가 회복을 설계하는 새로운 시작이 필요했다.

완전관해는, 다시 태어나는 과정이다

완전관해는 단지 재발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그건 나 자신을 처음부터 새롭게 만드는 과정이다. 면역체계도, 생각도, 삶을 대하는 태도도.

나는 지금 그 길 위에 있다. 도심 속 병원으로 향하는 발걸음은 단지 치료를 위한 게 아니다. 스스로 회복을 선택하는 매일의 결단이다.

그게 ‘완전관해’를 기다리는 사람의 자세 아닐까. 단순히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하루하루 내 몸을 만들어가는 것.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내일도, 다시 이 길을 걸을 수 있기를    

창밖으로 흐르는 풍경, 오늘은 왜 이리 아름답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