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약자석2

비어 있는 자리는 늘 비어 있지 않았다. 빈자리가 남긴 시간의 흔적사람들은 흔히 말한다. “노약자석이 비어 있길래 앉았다.” 그 말은 맞는 말이다. 형식적으로, 물리적으로, 실제로 그 자리는 비어 있었다.하지만 나는 그 자리에 처음 앉던 날 그 빈자리에서 무언가 묵직한 것을 느꼈다. 비어 있는 것 같은데, 전혀 비어 있지 않은 자리. 그곳은 누군가의 숨결이, 누군가의 쉼표가, 누군가의 마지막이 스며든 곳이었다.빈 자리에 남은 것들처음으로 노약자석에 앉고 나서야 나는 그 자리가 단순한 ‘의자’가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다.등받이에 살짝 눌린 형상, 천 위에 묻은 시간의 먼지, 때로는 묻어나 있는 약 냄새. 그 자리는 그저 누군가 앉았다가 떠난 자리가 아니었다. 그 자리를 스쳐간 수많은 사람의 인생이 보이지 않게 눌어 있었다.지하철은 달리고, 사람들.. 2025. 8. 23.
노약자석에 처음 앉던 날 노약자석에 앉던 날,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지하철 노약자석. 늘 그 자리는 ‘남의 자리’였다. 내가 앉아서는 안 되는 자리, 앉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 자리였다.그래서 오랜 세월 동안 그 자리가 비어 있어도 나는 절대 거기에 앉지 않았다. 잠깐이라도 눈길을 주는 것조차 어떤 금기를 깨는 듯한 기분이었다.그날, 나는 그 자리에 앉았다어느 날, 평소처럼 출근시간을 피한 낮 시간. 지하철은 비교적 한산했고, 노약자석에는 아무도 앉아 있지 않았다.나는 평소처럼 맨 끝칸으로 향했다. 자리가 모두 차 있었고, 그 붉은색 천으로 덮인 네 칸이 덩그러니 비어 있었다.잠시 망설였다. 그런데 그날은 유난히 허리가 아팠다. 무릎도 시큰거렸다. 무릎 위에 들고 있던 가방도 무겁게 느껴졌다.나는 조심스럽게 그 붉은 좌석에 앉았다... 2025. 8.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