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하철에세이6

암 치료의 여정 -버텨낸 하루의 증명서, 돌아오는 열차 안에서 임당에서 강창까지, 완전관해를 꿈꾸며 강창역 플랫폼에 다시 섰다. 진료를 마친 오후, 몸은 천근처럼 무겁다. 그러나 마음 어딘가에는 묵직한 만족감이 말없이 눌러앉아 있다.오늘도 다녀왔다는 사실, 다시 돌아가는 열차를 기다릴 수 있다는 것, 그 자체가 작지만 분명한 승리다.나를 증명해주는 건 결과지가 아니라 이 귀갓길이다의사 앞에서 받은 혈액검사 결과지보다 지금 이 열차 안에 앉아 있다는 사실이 훨씬 더 명확하게 오늘을 버텨냈다는 걸 증명한다.숫자는 해석의 여지가 있지만 몸에 스민 피로감, 앉자마자 느껴지는 안도의 한숨, 손끝의 묵직한 탈력감은 분명히 ‘살아낸 자의 감각’이다.지친 몸을 맡긴 객차 안, 이곳이 내 쉼터다사람들 틈에 조용히 앉아 나는 등을 기댄다. 마치 객차 전체가 내 몸을 감싸주는 듯하다... 2025. 9. 4.
암 치료 여정-다시 ‘강창역’에 도착할 수 있다는 희망 임당에서 강창까지, 완전관해를 꿈꾸며다시 ‘강창역’에 도착할 수 있다는 희망지하철 문이 ‘강창역입니다’라는 안내 방송과 함께 열릴 때, 나는 속으로 조용히 중얼거린다. “오늘도 도착했다.” 임당에서 강창까지 그 구간은 나에게 하루의 생존곡선이었다.어떤 날은 숨이 가빴고, 어떤 날은 생각이 무겁고, 또 어떤 날은 가슴이 멍하니 무감각했다. 그 모든 감정을 통과해 ‘강창역’이라는 간판 앞에 선 순간, 나는 확신한다. 나는 오늘도 살아 있다.‘도착했다’는 말은 단순한 이동을 뜻하지 않는다사람들은 말한다. “지하철 타고 몇 정거장이면 도착한다”고. 하지만 나에게 도착은 단순히 장소에 이른다는 의미가 아니다.그건 오늘 하루 몸이 허락한 거리였다는 뜻이고, 마음이 허락한 출발이었다는 의미다.어떤 날은 몸이 말을 .. 2025. 9. 3.
암 치료 여정-임당역에서 강창역까지, 완전관해를 꿈꾸며 암 치료의 여정 – 임당역에서 강창역까지임당역, 아직 시작되지 않은 하루의 입구이른 아침, 임당역 계단을 내려가는 발걸음은 언제나 묵직하다. 누군가에게는 그저 하루를 시작하는 평범한 장소일 테지만 나에겐 이곳이 오늘을 살아낼 수 있을지 가늠해보는 감정의 문턱이 된다.아직 햇살이 지하로 닿지 않은 시간. 회색빛 벽, 눅눅한 공기, 그리고 아직 말이 오가지 않는 사람들의 얼굴. 모든 게 느리고 조용하다. 마치 나의 폐처럼, 깊게 들이켜야만 겨우 살아 있는 것처럼.“완전관해”라는 말의 무게의사에게서 그 말을 들었을 때, 그건 마치 먼 별자리 같았다. 너무 멀고, 너무 빛나서 가까이 갈수록 눈이 아픈 그런 말.완전관해. 모든 병변이 사라지고 당장은 이상 소견이 없다는 그 단어는 희망 같기도, 허상 같기도 했다... 2025. 8. 25.
하루의 시작은 밀려드는 무표정에서 시작된다 무표정이 쌓여 하루를 여는 지하철 풍경하루의 시작은 밀려드는 무표정에서 시작된다아침 7시 42분. 지하철 2호선, 환승역을 통과하는 시간. 문이 열리는 순간, 사람들은 마치 훈련된 무리처럼 일제히 밀려든다. 한 줄로 늘어선 대기열은 침묵으로 가득 차 있고, 그 얼굴들엔 어떤 감정도 없다. 무표정. 그게 이 도시의 아침이다. 출근길의 수많은 표정들은 전부 지워져 있다. 화남도, 기쁨도, 당혹도 없다. 다만, ‘아무 표정 없음’만이 반복되는 시간대에 자리 잡고 있다. 왜 우리는 무표정을 선택하는가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굳은 얼굴, 반쯤 감긴 눈, 닫힌 입.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세상과 자신 사이에 벽을 세운다. 혹은 음악 속으로 피신하듯 이어폰을 끼고 눈을 감는다.이 무표정은 그냥 ‘졸림’이나 ‘.. 2025. 8. 11.
지하철의 무게 – 같은 자리, 다른 인생 지하철 의자 위의 인생들 – 똑같지만 전혀 다른 하루지하철의 무게 – 같은 자리, 다른 인생매일 아침 지하철에 탄다. 피곤함을 몸에 두른 채, 무거운 어깨를 끌고, 고요한 군중 속으로 밀려든다. 같은 시간, 같은 칸, 같은 자리. 하지만 그 안에 앉은 사람들의 인생은 단 한 번도 같았던 적이 없다. 누구는 출근 중이고, 누구는 병원으로 향한다. 누군가는 이직 면접을 보러 가고, 누군가는 막 해고당한 뒤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른다. 누군가는 학교에 지각 중이고, 누군가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사람을 만나러 간다. 그리고 그 모든 인생들이, 이 작은 칸 안에 잠시 스쳐간다.아무도 묻지 않는 질문, "괜찮으세요?"얼굴에 붙인 무표정, 이어폰 속으로 숨어든 시선, 입을 꾹 다문 표정들. 사람들은 서로를 보지 않는.. 2025. 8. 11.
지하철 정지선 - 멈춰 선 순간들: 인생의 정류장 일상의 정류장 – 지하철 선로 위에 비친 우리의 순간들지하철 정지선 - 매일 아침, 나는 서울지하철 2호선을 탄다. 이미 익숙해진 풍경 속에서도 간혹 낯선 감정이 불쑥 올라올 때가 있다. 오늘이 그랬다. 아침 8시 42분, 신도림역과 구로디지털단지역 사이 어딘가에서, 열차는 멈춰 섰다. "앞 열차와의 간격 조정을 위해 잠시 정차하겠습니다." 익숙한 안내 멘트가 흐르고, 열차 안 공기는 잠시 묘한 정적에 잠겼다. 사람들은 여전히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거나, 이어폰을 낀 채 멍하니 창밖의 어둠을 바라본다. 하지만 나는 그 순간, 묘하게 현실 밖으로 떨어져 나간 듯한 기분이 들었다. 문득, 이 잠시 멈춰 선 3분이 내 삶을 가만히 들여다볼 기회가 되어주는 것만 같았다.1. 삶은 늘 직진이 아니다우.. 2025. 7. 31.
728x90
반응형